지난밤에 잠을 설쳐서
오늘은 미라클모닝을 쉬어가려고 하였으나,
함께하는 멤버들 덕분에 또 어찌어찌 참여하게 되었다 ㅎㅎ
오늘의 주제는 인생 숙제 푸는 법!
인생 숙제 푸는 법

우리는 모두 인생 숙제를 가지고 있다.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문제 영역의 크기와 종류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그 숙제가 돈이건, 인간관계이건, 자녀, 커리어, 건강이건
사람들은 각자의 인생에서 인생 숙제를 가지고
그 숙제를 해결하며 숙제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살아 있는 내내 이 숙제들은 계속 움직이고 변화하며 업 앤 다운을 한다.
이 숙제는 나 아니면 내 가족이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사람의 몸은 하나이고, 24시간이라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어느 하나의 숙제에만 몰입하면 다른 숙제들을 해결하는데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미라클 모닝을 하는 굿짹들은 정말 대단한 분들이다.
이 문제들을 하루라는 시간 안에 해결하며 살아가야 하는데,
24시간이라는 한정된 자원을 더 잘 사용하기 위해 새벽시간을 활용하는 우리 굿짹들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다.!
우리는 모두 처음 살아가는 인생이고, 이 숙제들 앞에서 초보이기 때문에 인생 숙제들이
잘 안 풀리고, 부족한 게 정상이다.
회사라면 각 문제마다 담당자가 있다. 총무팀, 인사팀 등...
하지만 우리는 사랑에 빠져 면접도 제대로 안 보고 결혼한 사람과 단 둘이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인생을 처음 살아보는 나와 나 말고 다른 한 사람이 함께 매일매일 닥치는 대로 해결하고 있다.
(물론 혼짹들은 혼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그렇다고 다른 한 사람인 남편 혹은 부인이 나보다 유능하냐? 그럴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돈 버는 것도 시원치 않고, 애들이랑 인간관계도 시원치 않아 늘 아이들과 싸우고, 나랑 사이도 안 좋고,
직장은 늘 옮겨 다니면 .... 나와 함께 숙제를 해야 하는 한편이 이렇다면...생각만 해도 고구마 먹은 기분이다.
그렇다고 온 가족의 상태가 다~ 좋은 그런 집은 별로 없다.
원래 그 집에 숙제 풀 사람이 두 명 밖에 없다.
그런데 같이 결혼한 사람이 이렇게 시원치 않으면 숙제 풀 사람이 나밖에 없다.
속에 천불이 난다. 그런데 다 그러고 산단다. 말을 안 해서 그렇지 다들 혼자 해결하며 산단다.
왜 나 혼자만 이러고 살아야 해? 라고 생각하지 말자.
둘이 딱딱 손발이 맞아떨어지는 집은 드물다.
살다 보면 인생의 순간순간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나에게만 이런 문제가 생기는 것 같은 억울한 느낌이 들고
나만 뭔가 일이 안 풀리는 것 같아 너무 속상하고
처음이라 우왕좌왕하는 것 같고
안 풀리고 어색한 느낌이 정상이다.
이 숙제가 어려운 것도 정상이고
이 숙제들을 다 100점을 받지 못하는 것도 정상이다.
이런 느낌이 다 정상이다. 모두 다 똑같다.
그래서 인생숙제를 잘 풀기 위해서 3단계의 순서에 따라 해결해 나가야 한다.
먼저
1. 문제를 쪼개어 우선순위를 정하자!
문제들을 세분화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모든 문제를 한 번에 다 해결할 수는 없다.
돈, 인간관계, 자녀, 커리어, 건강 등의 인생 숙제들에서 정상의 수준을 뭘로 둘지 결정하라.
제일 시급한 문제를 파악하고,
제일 시급한 문제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물론 건강에 문제가 있으면 병원 다녀야 하니 시간과 돈에 문제가 생기고, 커리어에 문제가 생긴다
자녀가 아프면 내 시간을 빼서 병원에 데리고 다녀야 하니 돈과 내 커리어에 문제가 생기고, 다른 자녀까지 신경 써야 한다.
이때 내 커리어에 사용해야 할 시간을 줄여서 이 문제에 쏟아야 한다.
2. 우선순위에 자원을 집중하자!
급하지 않은 다른 영역에 가야 할 자원을 우선순위에 먼저 배분해야 한다.
모든 영역을 다 100점을 맡기는 어렵다.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영역에 나의 시간, 돈, 에너지 등 자원을 집중하여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3. 시간관리를 잘하자!
인생의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이라는 자원을 집중하려면 시간 관리를 그만큼 잘해야 한다.
시간 관리를 잘하기 위하여
- 우선순위를 정하고 목표를 설정하자.
- 그 목표를 더 작고 관리할 수 있는 부분으로 세분화해보자.
- 내가 관리할 수 있는 단위에 집중하여 일정을 만들어보자.
- 할 일 목록과 마감기한을 설정하여 일정을 관리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 방해요소를 최소화하라.
- 필수적인 일이 아니라면 우선순위에 집중할 수 있는 자원(에너지, 시간, 노력)을 빼앗아가니 거절하라.
사실은 이 판에서 안 떠나고 버티는 것,
숙제를 풀고 있다는 것만으로
잘하고 있는 것이다.
그걸 더 잘하기 위해서 남들이 다 자는 이 시간,
새벽시간에 일어나 나를 깨우고 나에게 용기를 주는
514 챌린지를 하는 우리 굿짹들은 정말 잘하고 있는 것이다.
인생이 힘들더라도 작은 일에 감사하며 조금씩 성장하는 삶을 살아보자. 바꿀 수 없는 외부에 초점을 두지 말고 변화시킬 수 있는 나 자신에 초점을 두고 조금씩 성장하다 보면 언젠가는 이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다.
오늘도 도움 되는 감사한 이야기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어 감사한 날이다.


오늘부터 우리 굿짹 자습반은 '글짹이들'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글 쓰는 짹짹이들. 입에 촥 붙는다.
글짹이라는 좋은 이름 내주신 엄파님 감사!
이들은 내 아이디어ㅎㅎ
오늘부터 🎈글짹이들🎈1일 차!

그릿히얼님의 한 줄 나눔. 무자본으로 부의 추월차선 만들기.
경험을 평생 소득으로 만드는 콘텐츠사업 4단계
1단계. 절정경험 발굴
깊은 열정을 지닌 분야를 발견하고 발굴하게 된다.
경험을 천천히 들여다보면 하고 싶고, 하고 있으며, 하게 되는 일을 발견하게 된다.
이런 일은 대개 남들로부터 가치를 인정받게 마련이다.
잘하는 일, 좋아하는 일이 있다. 이것을 절정경험이라고 한다.
제일 중요한 단계이다.
2단계. 경험의 지식화
절정을 경험한 그 일, 좋아하고 싶고 잘하고 싶은 그 일을 왜 어떻게 잘했는지 다각도로 분석한다.
그 비결을 정리하여 지식으로 만든다. 지식화를 한다.
3단계. 지식의 콘텐츠화
당신의 지식, 노하우는 누구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까?
그 해결책으로 당신의 기술, 노하우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만든다.
그 이야기들을 블로그에 무료로 공유하여 골수팬을 확보한다.
4단계. 콘텐츠의 현금화
콘텐츠를 강연, 출판, 교육, 조언 등의 경로로 판다.
경험이 드디어 현금화가 된다.
지식콘텐츠를 만드는 4단계이다.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다.
나는 아직 콘텐츠를 정하지 못했지만,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블로그에 해시태그를 달 때 '키워드 마스터', 네이버 검색광고에서 키워드 조회수 1만 건, 하루 3백 건 이상 되는 황금키워드를 찾아서 사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한다.

잘 가꾸어놓은 논밭에서 새로운 것을 하려고 하는. 펜타클 시종.
댓글